목록list (2)
기루 기룩 기록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s3l8/btqzxCsrt6I/lp1DmlcZ7nxpx9uU5MYBC1/img.png)
# 국, 영, 수, 합, 평균 score = [[70,80,90,0,0], [80,90,100,0,0], [75,85,95,0,0], [70,85,85,0,0], [60,70,80,0,0]] print("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 print("국어\t영어\t수학\t합\t평균") print("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") for i in range(0,5): for j in range(0,5): if j < 3: score[i][3] += score[i][j] # 합 구하기 else: score[i][4] = score[i][3]/3 # 평균 구하 print(score[i][j], end = "\t") print()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UFscQ/btqvX1hUpHN/uKJWgk4Qs6Yjxx4JgD4I4K/img.png)
파이썬은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자료형이 존재한다. -리스트: 변수명을 하나하나 지정해주기 힘들 때 리스트를 사용. 리스트명=[값1, 값2, 값3, ...], 앞서 배웠던 split을 통해 나누어져서 리스트에 저장된다 ex) >>> listTest = ['test0','test1'] >>> print(listTest) ['test0','test1'] >>> print(listTest[0]) #offset 0 [test0] >>> print(listTest[1]) [test1] >>> print(listTest[2]) IndexError: list index out of range -offset으로 항목 얻기: 리스트는 위의 ex)처럼 오프셋으로 하나의 특정 값을 추출할 수 있다. -다른 데이터 타입을 ..